등산일시 : 2022년 8월 13일(토)
소백산 등산코스 ; 어의곡 - 비로봉 - 국망봉 - 상월봉 - 늦은맺이재 - 어의곡
산행거리 ; 17.73km(15.5km), 트랭글에서는 17킬로미터고, 램블러에서는 15킬로미터이다.
워치4는 산행중에 배터리가 다 소모되서 중간에 기록이 끊겨 숫자는 대략 15킬로미터인듯.
소요시간 ; 5시간 49분
주차장 : 충북 단양군 가곡면 새밭로 842(주차댓수는 얼마안된다)
소백산 정상인 비로봉까지의 최단 코스라 등산로는 이곳으로 설정,
정상찍고 오르던길로 하산하는게 아닌 국망봉들려서 하산하는걸로..
주차장에 주차를 해 놓고 산행을 시작하다.
![]() |
![]() |
최단코스라고 하는데 길이가 무려 5.1km라.. 많이 멀구나.
![]() |
![]() |
그래도 전날 산보다 유명해서 그런지 초입 길이 좀 더 나은 모습이다.
조금 더 오르자 오늘 산행도 만만치 않다는걸 미리 보여주는지..
등산길로 물길이 나아있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가다보니 우측으로 비탈진산에 침엽수림이 펼쳐져있는데 멋진 모습이다.
사진에 담은건 그닥이네.. 나중에 올라가면서 뒤돌아보니.
좌측(등산길로는 우측)에는 침엽수림, 우측에는 활엽수림으로 조성되어있는듯 한데.
일부러 이렇게 만들어놓은건가.
![]() |
![]() |
멋진 모습에 동영상도 한컷, 휴대폰 카메라를 못 찍는게 확실하다. 그냥 보는게 더 멋지다.
https://youtu.be/Iq6iQ7udh3Q
산행을 할때 보면 자주 보이는 돌탑들이 있는데.
이 모습은 아닌것 같다. 왜 저 안에 돌들을 쌓아놓지.. 나무위에도 그렇고..
![]() |
![]() |
오르다보니 등산로 보수 하는 사람들이 보였다.
수고하세요. 인사를 하고 지나가는데. 대답 소리가 우리나라 사람이 아닌 외국사람들이었다.
근처에 텐트가 쳐져있는것보니 숙식을 하면서 보수를 하나보다. 이런 일도 외국 근로자가 하는구나.
![]() |
![]() |
조금더 가니 하늘이 보인다.
정상이 가까이 왔다는 뜻인가보다.
탁 트인 시야가 시원함을 느껴준다. 바람은 그리 차지 않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정상에서 셀피를 찍고, 주변을 담아본다.
정상에 나무들이 없으니 시야가 넓게 보여진다.
이것도 일부러 나무 없이 야생초를 심어서 조성한건가. 다른 산에서 못 느꼈던 시원함이 느껴진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
소백산 비로봉에서 한컷.
https://youtu.be/C8JMJB65-xY
정상에서 잠시 휴식후
국망봉, 늦은맺이재를 통해 하산하기로 하다.
이게 또 고생문을 연 결과를 보게되다.
저 위치쯤인가. 길을 걷고 있는데 좌측 풀숲에서 소름 돋게하는 울음소리가 들렸다.
처음 듣는 소리인데 전날 멧돼지를 만나서 좀 놀래있었는데.
이 울음소리는 뭔지, 순간 당황해하며 멈춤, 다시 가는데 한번 더 울음소리가 들리네..
곰 울음소리인가, 나중에 집에와서 곰 울음소리를 찾아서 들어보는데.. 비슷한것 같기도하고 아닌것 같기도하고..
하여간 무서웠음. 어흥은 아니었음.
![]() |
정상까지 올라갈때는 10분에 한번씩은 오르던 사람이나 하산하던 사람을 만나곤 했는데... 비로봉찍고 하산길에는..
총 다섯팀봤나, 그것도 8명정도... 홀로 산행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.
역시 이 이후에 걸음걸이가 더 빨라지는 느낌을.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국망봉도착
![]() |
![]() |
소백산 국망봉에서 산등성이로 구름 넘어오는 모습이 멋지더라.
https://youtu.be/wQbvsxwqliQ
![]() |
![]() |
드디어 고생문이 열리다.
이길은 산길반 물길반 이었다.
가는길이 온통 물밭이라고나 할까.. 왜이리 물이많던지.
수중전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모를까 이 길은 좀 아닌것같다. 그래도 시원하다.
![]() |
![]() |
중간에 내려오면서 징검다리도 만들고..
저런길을 큰거 3개정도 작은거 두개정도 건넌느낌이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